속도가 생명인가

  • 등록 2019.11.26 16:24
  • 조회수 255
크게보기

속도에 미친 대한민국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에 와서 놀라는 점 중 항상 빼놓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있다. 한국의 빠른 배달 문화와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 속도가 바로 그것이다. 모두 속도와 관련 있는 것으로 한국인은 속도에 미친 민족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러 종류의 술을 섞어 마시는 일명 ‘폭탄주’도 빨리 취하기 때문에 먹을 정도니 말이다.


우리가 처음부터 ‘빨리빨리 민족’은 아니었다고 한다. 불과 한 세기 전까지만 해도 한국인들은 게으르다는 소리를 들었다. 유명한 여행가인 이사벨라 버드 비숍은 1897년 한국을 방문하고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겼다. “서울은 지루하고 죽은 도시다. 사람들은 게으르고 나태하다.” 지금의 한국인들은 비숍이 남긴 이러한 말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한국은 경제 성장마저도 초고속이었다. 한국 전쟁을 겪고 황폐해진 우리 사회는 원조에 힘입어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늘려 우리 경제의 초석을 다졌다. 1971년 수출 규모는 1964년에 비해 열 배나 늘어났다. 한강의 기적은‘빨리빨리 민족’이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무엇이든 빨리빨리 해결하려는 한국인의 습성은 큰 경제 발전을 이룬 지금까지도 깊게 남아있다. 한국인들은 주문한 음식이 도착 예정 시간을 5분이라도 넘기면 가게에 전화를 걸어 따지곤 한다. 지하철을 탈 때도 승객이 다 내릴 때까지 기다리지 못하고 열차에 몸을 집어넣는다. 한국인들에게 여유란 없어 보인다.


지난 9월, 故김민식 군은 학교 앞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다 과속차량에 치여 이 9살의 어린나이로 세상을 떠나 국민들에게 큰 슬픔을 안겨주었다. 가해차량은 스쿨존에서 전방주시도 하지 않고 과속을 해 민식 군을 치고 말았다. 민식 군의 사고는 가해자의‘빨리빨리’가 낳은 안타까운 사고가 아닐까?.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던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성수대교 붕괴사고 역시‘빨리빨리’가 빚은 참사였다. ‘빨리빨리’는 늘 희생이 따랐다.


빨리빨리 정신이 지금의 대한민국을 만들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빠르게 달려오면서 우리가 놓친 것들이 너무나 많다. 자살률 1위, 노동시간 1위라는 불명예는‘빨리빨리 민족’의 숙명인 것일까.


우리는 ‘빨리빨리’의 한계에 부딪혔다. 사회 곳곳에 부조리와 병폐들이 만연하다.  앞만 보고 무작정 빨리 달려왔으니 당연할지도 모른다. 이제 우리 사회는 망가진 신발을 고쳐 신고, 다친 곳은 없는지 확인하는‘여유’가 필요한 때가 아닐까.

전동현 기자 jdj3458@naver.com
(c)캠퍼스엔 대학생 인터넷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캠퍼즈 | 등록번호: 서울 아52119 | 등록일: 2019년1월27일 | 제호: 캠퍼스엔(campusN) | 발행인ㆍ편집인: 정범모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로 157, 1505호(양평동5가,투웨니퍼스트밸리) | 발행일 : 2019년 4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범모 전화번호 : 02-2055-3578 | 제보메일: jebo@campusn.co.kr Copyright ©2024 campus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