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정치성향에 따라 유튜브 이용률이 달라진다? 2018언론수용자 의식조사

2018언론수용자 의식조사를 들여다본다.

 

“정치성향에 따라 유튜브 이용률이 달라진다??”... 2018언론수용자 의식조사 

 

언제 어디서나 동영상을 시청하고, 누구나 자신만의 방송 채널을 운영하는 시대다. 인터넷 사용자들이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으로 끊임없이 유입되면서, 동영상 경쟁력이 인터넷 시장의 패권을 좌우하는 핵심 변수로 부상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방송들까지도 위협받고 있는 실태이다.

 

2018 언론수용자 의식조사에 따르면 1주일간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의 이용률은 33.6%로 조사되었다. 이는 라디오(20.8%)나 종이신문(17.7%)보다 높은 이용률을 기록했다.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이용자의 평균 이용 시간은 31.5분으로 나타났다.

 

특성별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이용 행태를 살펴보면, 연령대가 낮을수록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이용률과 평균 이용 빈도, 하루 평균 이용 시간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의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이용률은 64.3%로 가장 높았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며 60대 이상은 8.9%로 가장 낮은 이용률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직업별로 보면, 학생이 다른 직업군에 비해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이용률과 평균 이용률이 68.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직업군은 농/축/수산/광업에 종사하는 이들이며 학생의 10분의 1 가량인 7%로 조사됐다.

 

정치 성향에 따라서 온라인 플랫폼 이용률과 평균 이용 빈도 수의 차이가 나타났다. 주관적 정치 성향이 진보인 사람들의 이용률은 44%로 가장 높았고 중도는 36.8% 보수는 19.8%로 이용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거주 지역 규모에 따라서도 이용률의 차이를 보였다. 대도시에 거주하는 사람의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이용률은 34.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군지역의 경우에는 24.5%로 대도시와 이용률 차이가 다소 큰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뉴스 이용자(n=339)를 기준으로 한 점유율은 유튜브 91.6%, 네이버 TV19.0%, 아프리카TV 13.5%, 카카오 TV 8.1%, 곰TV 3.6%, 판도라TV 1.5% 순이었다.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에서 접한 주제로는 사회가 63.0%로 가장 높았고, 정치가 43.6%로 두 번째로 높았다. 다음으로는 연예/오 락 41.4%, 경제 35.1%, 국제 29.3%, 남북/통일 22.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4월1일 헤럴드경제 보도에 따르면 여성가족부는 "올해 연말부터 인터넷 개인방송 모니터링 시범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며 "본격적인 사업은 내년부터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한컴아카데미, 대학생 서포터즈 1기 발대식 개최
한컴아카데미가 지난 9월 26일 경기도 성남시 한컴타워에서 서포터즈 1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한컴아카데미는 한컴그룹의 교육 전문 계열사이다. 이번 서포터즈는 수도권 소재 대학생 24명으로 구성됐으며, 앞으로 3개월 간의 활동 기간 동안 한컴아카데미의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알리는 콘텐츠를 직접 기획하고 제작하게 된다. 이번 서포터즈 활동은 한컴아카데미가 보유한 두 가지 핵심 교육 사업의 가치를 융합하고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한컴아카데미의 두 가지 핵심 교육 사업 중 첫 번째는 재직자 대상 인공지능(AI), 임베디드 등의 전문가 과정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교육이다. 두 번재는 대학생과 취업준비생을 위해 폭넓은 IT 실무 역량을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LMS) 서비스이다. LMS는 온라인에서 강의 수강부터 과제 제출, 학습 관리까지 모든 교육 활동이 이뤄지는 ‘온라인 강의실’과 같은 플랫폼이다. 서포터즈 1기는 주로 온라인 LMS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며, 실제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강의 후기, 학습 팁, 관련 산업 트렌드 등 다양한 SNS 콘텐츠를 제작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통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잠재적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