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워라밸의 민낯

일과 삶의 균형을 의미하는 “워라밸”, 실질적인 도입을 위한 사회적 노력 필요…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은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사전적 의미다. 이는 우리 사회에 익숙한 단어가 됐다. 잡코리아의 ‘워라밸이 보장된다면 연봉이 낮아도 이직할 의향이 있는 가’에 대한 조사결과 직장인 58.3%가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왜 사회는 이토록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가

 

이유는 달라진 사회 분위기에 있다. 기성 세대는 직장을 한 평생 다니는 것이나 몸을 바쳐 일할 곳이라고 인식해 강한 집단문화를 만들었다. 이러한 사회에 염증을 느끼는 현 세대의 새로운 모습 중 하나가 ‘워라밸’이다. 점점 사회는 개인의 성향과 여가생활을 중시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전 세대와는 달리 경제적인 여건에 구애받지 않는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다.

 

워라밸을 지향하는 사회요구는 여러 곳에서 나타난다. 근로자의 인식에 맞춰 많은 기업은 워라밸을 실현할 수 있는 직원복지를 적용해 나가고 있으며 국가는 법을 제정하는 등의 실질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기업의 변화를 보여주는 일례로, 한화그룹이 지난 1월 워라밸 강화를 위해 장기 휴직이 가능한 ‘채움 휴직’과 ‘아빠 휴가 의무화’를 발표한 것을 들 수 있다. 국가에서는 주 52시간 근무제와 아빠의 육아휴직 활성화와 같은 워라밸 정책을 내놓았다.

 

워라밸은 기존과 달라진 소비습관에서도 드러난다. 이른바 ‘워라밸 소비 시장’이라 불리는 시장에서 소비자는 가격보다 개인의 만족을 선호하는 소비심리를 지닌다. 이는 여가 소비시장 증가에서도 확연히 보여지는 데, 실제로 연합뉴스에서는 1년간 Emart 취미 용품 분야인 스마트 모빌리티와 게임용품 매출이 각각 330%, 130%증가했다고 밝혔다.

 

워라밸을 위한 노력과 변화가 계속되고 있지만 기업 내의 워라밸의 실질적인 적용까지는 미치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다. 워라밸 정책 중 하나인 주 52시간 근무제의 경우 일정규모 이상의 대기업, 공기업에만 적용되며 특수한 직종이거나, 규모가 작은 회사의 경우 실질적으로 적용되기 어렵다.

 

이러한 제도적 허점을 보완하며 삶과 일의 균형을 맞춰가는 것이 중요해졌다. 직장인 김씨는 “야근이나 회식 때문에 개인적인 약속을 취소할 때가 되면 직장에 대한 회의감이 자주 든다. 일도 제 삶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전부는 아니다. 앞으로 워라밸이 인식과 제도적인 면에서 사회에 잘 도입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프로필 사진
여승엽 기자

캠퍼스엔 기자 여승엽입니다.







배너

대전광역시, 제17회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 개최
대전시가 19일 시청 2층 로비에서 ‘제17회 대전광역시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해 공모전은 ‘한 걸음에 만나는 대전 속 힐링디자인’을 주제로 진행됐다. 대학생과 일반인 206팀이 참여해 총 206점의 작품이 출품됐다. 이 중 창의성과 활용성, 완성도를 종합 평가한 결과 60개 작품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상(大賞)은 시설물 디자인 부문에서 청주대학교 임종건 씨가 출품한 ‘한밭수목원 자전거수리대 고치슈’가 선정됐다. 금상은 ▲서울대학교 김시찬·큐슈대학교 허태원 씨의 ‘마당 너머, 소제의 숨결’▲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류가현·이세린 씨의 ‘대전광역시 산책 어플리케이션 걷슈’가 차지했다. 심사는 건축·디자인·도시계획 등 관련 분야 전문가 8명이 참여했으며 작품의 창의성과 활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이장우 시장은 “이번 수상작들이 대전을 ‘디자인으로 힐링되는 도시’, ‘품격 있는 명품 도시’로 이끄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공모전이 참가자들에게는 창작의 성장 발판이 되고 시민들께는‘디자인이 주는 감동’을 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수상작은 19일부터 27일까지 9일간 대전시청 2층 로비에서 전시되며 대전광역시 공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