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속도가 생명인가

속도에 미친 대한민국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에 와서 놀라는 점 중 항상 빼놓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있다. 한국의 빠른 배달 문화와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 속도가 바로 그것이다. 모두 속도와 관련 있는 것으로 한국인은 속도에 미친 민족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러 종류의 술을 섞어 마시는 일명 ‘폭탄주’도 빨리 취하기 때문에 먹을 정도니 말이다.


우리가 처음부터 ‘빨리빨리 민족’은 아니었다고 한다. 불과 한 세기 전까지만 해도 한국인들은 게으르다는 소리를 들었다. 유명한 여행가인 이사벨라 버드 비숍은 1897년 한국을 방문하고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겼다. “서울은 지루하고 죽은 도시다. 사람들은 게으르고 나태하다.” 지금의 한국인들은 비숍이 남긴 이러한 말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한국은 경제 성장마저도 초고속이었다. 한국 전쟁을 겪고 황폐해진 우리 사회는 원조에 힘입어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늘려 우리 경제의 초석을 다졌다. 1971년 수출 규모는 1964년에 비해 열 배나 늘어났다. 한강의 기적은‘빨리빨리 민족’이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무엇이든 빨리빨리 해결하려는 한국인의 습성은 큰 경제 발전을 이룬 지금까지도 깊게 남아있다. 한국인들은 주문한 음식이 도착 예정 시간을 5분이라도 넘기면 가게에 전화를 걸어 따지곤 한다. 지하철을 탈 때도 승객이 다 내릴 때까지 기다리지 못하고 열차에 몸을 집어넣는다. 한국인들에게 여유란 없어 보인다.


지난 9월, 故김민식 군은 학교 앞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다 과속차량에 치여 이 9살의 어린나이로 세상을 떠나 국민들에게 큰 슬픔을 안겨주었다. 가해차량은 스쿨존에서 전방주시도 하지 않고 과속을 해 민식 군을 치고 말았다. 민식 군의 사고는 가해자의‘빨리빨리’가 낳은 안타까운 사고가 아닐까?.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던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성수대교 붕괴사고 역시‘빨리빨리’가 빚은 참사였다. ‘빨리빨리’는 늘 희생이 따랐다.


빨리빨리 정신이 지금의 대한민국을 만들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빠르게 달려오면서 우리가 놓친 것들이 너무나 많다. 자살률 1위, 노동시간 1위라는 불명예는‘빨리빨리 민족’의 숙명인 것일까.


우리는 ‘빨리빨리’의 한계에 부딪혔다. 사회 곳곳에 부조리와 병폐들이 만연하다.  앞만 보고 무작정 빨리 달려왔으니 당연할지도 모른다. 이제 우리 사회는 망가진 신발을 고쳐 신고, 다친 곳은 없는지 확인하는‘여유’가 필요한 때가 아닐까.







배너

대전광역시, 제17회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 개최
대전시가 19일 시청 2층 로비에서 ‘제17회 대전광역시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해 공모전은 ‘한 걸음에 만나는 대전 속 힐링디자인’을 주제로 진행됐다. 대학생과 일반인 206팀이 참여해 총 206점의 작품이 출품됐다. 이 중 창의성과 활용성, 완성도를 종합 평가한 결과 60개 작품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상(大賞)은 시설물 디자인 부문에서 청주대학교 임종건 씨가 출품한 ‘한밭수목원 자전거수리대 고치슈’가 선정됐다. 금상은 ▲서울대학교 김시찬·큐슈대학교 허태원 씨의 ‘마당 너머, 소제의 숨결’▲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류가현·이세린 씨의 ‘대전광역시 산책 어플리케이션 걷슈’가 차지했다. 심사는 건축·디자인·도시계획 등 관련 분야 전문가 8명이 참여했으며 작품의 창의성과 활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이장우 시장은 “이번 수상작들이 대전을 ‘디자인으로 힐링되는 도시’, ‘품격 있는 명품 도시’로 이끄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공모전이 참가자들에게는 창작의 성장 발판이 되고 시민들께는‘디자인이 주는 감동’을 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수상작은 19일부터 27일까지 9일간 대전시청 2층 로비에서 전시되며 대전광역시 공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