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캠퍼스 소식

경북대학교, 2020학년도 비대면 강의 1달 추가 연장

- 기존 예정일보다 1개월 연장된 5월 3일까지 비대면 강의진행
- 통 큰 연장으로, 온라인 수업 질 개선 할시간 확보
- 장애 학생들에 대한 처우, 모호한 수업 평가 기준, 등록금 일부 반환 안건 등 미해결 문제 아직 많아

 

[캠퍼스엔 = 신성호 기자] 이 달 27일 경북대학교는 대구에서 코로나19의 기세가 빠른 시일 내에 진화되기 어렵자, 4월 5일까지로 예정되어있던 비대면 강의 기간에 1달을 연장하여 5월 3일까지로 실시하기로 확정했다.

 

재학생들은 이미 대구에 위치한 타 대학들도 비대면 강의 기간을 연장하였기 때문에 경북대도 이 추세를 따라서 비대면 강의 기간을 연장할 것이라 여기고 있었으나, 1달을 연기하는 학교의 결정에는 다소 놀란 반응이다. 허나, 이와 같은 결정에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부 학생들은 추가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한, 학교 측의 과감한 결정에 지지를 표했지만, 상당수의 학생들은 단순하게 비대면 강의 기간을 늘리는 것이 올바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목소리를 내었다. 앞서 경북대학교 총학생회 ‘스케치’는 21일부터 3일간 비대면 강의 불만 사례를 조사하였고, 3천여 건의 조사 결과를 학교 측에 전달했다.

 

조사 결과, 현재 실시되는 비대면 강의의 과제량이 많다는 항목에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고 비대면 강의 질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그 뒤를 이었다. 1달 간의 비대면 강의 연장을 결정한 만큼, 과제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수업 분위기를 지양하고 수업의 질을 높일 필요성이 제기된 셈이다.

 

학교 측에서 1달을 연장한 배경으로, 온라인 수업의 질을 더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단순히 1주씩을 연장하며 대면 강의를 기다리는 것보다 1달의 연장으로, 학습 일정과 계획에 여유를 두고 학생과 교수진이 소통을 통해 비대면 강의의 어려움을 해결해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고 볼 수 있다.

 

허나, 장애 학생들에 대한 처우, 모호한 수업 평가 기준, 등록금 일부 반환 안건 등 아직 해결되지 못한 문제들이 많다. 학생들은 1학기 전 과목 절대평가 실시, 등록금 일부 반환 추진 등 다양한 대처방안을 제시했다. 학교와 학생이 어떻게 문제를 풀어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프로필 사진
신성호 기자

캠퍼스엔 신성호 기자입니다.

2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한컴아카데미, 대학생 서포터즈 1기 발대식 개최
한컴아카데미가 지난 9월 26일 경기도 성남시 한컴타워에서 서포터즈 1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한컴아카데미는 한컴그룹의 교육 전문 계열사이다. 이번 서포터즈는 수도권 소재 대학생 24명으로 구성됐으며, 앞으로 3개월 간의 활동 기간 동안 한컴아카데미의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알리는 콘텐츠를 직접 기획하고 제작하게 된다. 이번 서포터즈 활동은 한컴아카데미가 보유한 두 가지 핵심 교육 사업의 가치를 융합하고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한컴아카데미의 두 가지 핵심 교육 사업 중 첫 번째는 재직자 대상 인공지능(AI), 임베디드 등의 전문가 과정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교육이다. 두 번재는 대학생과 취업준비생을 위해 폭넓은 IT 실무 역량을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LMS) 서비스이다. LMS는 온라인에서 강의 수강부터 과제 제출, 학습 관리까지 모든 교육 활동이 이뤄지는 ‘온라인 강의실’과 같은 플랫폼이다. 서포터즈 1기는 주로 온라인 LMS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며, 실제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강의 후기, 학습 팁, 관련 산업 트렌드 등 다양한 SNS 콘텐츠를 제작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통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잠재적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