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엔/변민철 기자] 최근 환경이슈 중 가장 크게 주목받고 있는 것은 미세먼지이다. 언젠가부터 기상정보에 미세먼지 농도가 표시될 정도로 우리에게 미세먼지는 시민들의 주요 관심사가 됐다. 지난 대선 공약 중 각 후보가 다양한 미세먼지 대응 정책을 내놓을 정도로 정부에게도 이 문제는 큰 화두로 던져져 있다.
한편 미세먼지 연구는 대학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강원대학교 환경공학과에도 대기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실이 있다. 지도교수, 석사과정의 대학원생, 그리고 학˙석사 과정의 학부생으로 구성되어있는 연구실에서 최근 미세먼지 관련 이슈에 대해 학생들의 생각을 인터뷰해 보았다. 인터뷰 답변은 해당연구실 학생들의 토의를 통해 진행 됐다.
연구실을 간단히 소개한다면?
이름은 강원대학교 환경공학과 에어로졸공학연구실이다. 주로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대기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진행하는 연구는?
좀 추려서 말하면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필터를 만드는 방법에 관한 연구와 미세먼지가 되는 전구물질을 미리 제거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연구과제가 상당히 생소한데?
전문적으로 접근하는 부분이라 생소하다. 전자는 많은 사람이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짧은 시간 내에 미세먼지를 많이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를 설계하는 연구이고, 후자는 처음부터 미세먼지로 배출되는 것도 있지만, 가스상 오염물질로 배출되어서 대기 중에서 미세먼지로 바뀌는 것들이 있는데, 미세먼지의 전구물질이 되는 가스상 오염물질을 저렴하게 제거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최근 몇 년간 미세먼지가 왜 이슈라고 생각하는지?
사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미세먼지와 초미세 먼지는 매년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그러나 과거보다 미세먼지 관련된 보도가 증가했고, 미세먼지가 국외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기사들로 인해서 국민의 관심이 증가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원래 미세먼지는 국내 발생 요인이 큰 건지?
실제 영향은 국내 요인이 크다. 중국발 미세먼지는 중국 내에서 관리를 통해 수치상으로 낮아지고 있다. 그렇기에 발전소나 노후차량 혹은 연료 연소 등의 국내 요인을 줄일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최근 이슈는 초미세 먼지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날이 많아서 언론과 국민으로선 관심사가 쏠릴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심은 미세먼지는 관리가 되지 않는다는 부정적 인식이 형성됐고, 중국의 영향만이 주 발생 요인이라고 몰아가는 여론이 형성된 것 같다.
학생 관점에서 우리 정부가 “이런 점은 보완했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했던 점은?
정부의 정책은 좋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현 이슈를 반영하여 환경부 예산 편성하는 부분이나, 전년 대비 예산 증액률을 보면 알 수 있다. 하지만 정부의 관심이 높아진 만큼 국민의 의식 수준도 높아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노후디젤 차량, 운전습관, 연료사용 등 실생활에서 미세먼지를 줄일 방안이 많이 있다. 물론 제한적인 부분도 있겠지만, 미세먼지 예방목적에 있어 정부와 국민이 하나가 되었으면 좋겠다.
앞으로의 방향성과 포부 한마디
석사과정을 마친 후 대기환경 관련 분야로 진로를 결정하여 한국의 대기환경 분야에 이바지할 수 있는 사람이 되겠다(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