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극심해지는 ‘反中’현상, 남의 일만이 아니다

 

대만 총통 선거가 ‘反中’ 후보인 차이잉원의 승리로 끝이 났다. 이는 대만 국민의 의지이며, 중국과는 다른 민주화 국가를 표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대만뿐 아니라 홍콩에서도 이미 민주화 시위가 격렬히 일어나고 있다. 중국은 대만과 홍콩에 대해 ‘일국양제(一國兩制)’ 원칙을 들이밀고 있지만, 그 ‘원칙’이란 것이 지켜지고 있을까?

 

1997년 홍콩이 중국에 반환됐을 때 중국은 일국양제를 약속했다. 하지만 홍콩시위는 일국양제를 무시한 중국 정부의 일방적인 ‘송환법’ 규정으로 발생했고, 이는 결국 중국 정부가 스스로 홍콩시민들에게 반중 정서를 심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만 국민 또한 이를 모를 리 없다. 중국이 경제적으로 급성장하면서 중국과 경제적인 노선을 같이하는 것이 자국에 이익이 된다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대만은 자유를 선택했다.

 

중국 정부는 원칙에 대한 약속을 ‘일방적인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심지어 중재자의 역할을 하려는 국제사회에는 ‘내정간섭’이라며 으름장을 놓고 있다. 극심해지는 반중정서는 중국의 일방적이고 불수용(不受容)적인 태도에서 나오는 것이다.

 

이러한 반중 정서는 남의 일이 아니다. 최근 중국인 유학생들과 관광객들이 한국으로 끊임없이 밀려오고 있다. 한한령(限韓令) 해제가 가져올 경제적 기대감과는 별개로 많은 사람이 단체로 몰려다니는 중국인 관광객에게 혀를 차곤 한다. “그들은 시끄럽다.” “그들은 더럽다.”라며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그들을 비하하는 ‘착짱죽짱(착한짱깨는 죽은짱깨)’이라는 신조어가 탄생할 정도로 ‘반중’이 아닌 ‘혐중(嫌中)’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얼마 전 홍콩시위를 지지하는 대자보가 한국 대학가에도 붙으면서 중국 유학생들과 갈등을 빚는 사례들이 나타났다. 중국인 유학생으로선 남의 일에 간섭하지 말라는 듯 생각할 수 있지만, 중국과 반대로 한국의 대학문화는 자유로우므로 표현하는 자유를 막을 순 없는 일이다.

 

 

그들이 자신의 문화를 인정받기를 바란다면, 그들도 다른 문화를 인정하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 반중 정서는 이제 비단 어느 한 곳의 일이 아니다. “전 세계 어디를 가도 중국인이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중국의 영향력은 커졌다. 영향력에 맞는 수용적 태도를 지니는 것이 맞는 행동이 아닐까? 반대로 우리도 지리적, 경제적 또 문화적으로도 중국과는 ‘수어지교(水魚之交)’의 관계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므로 중국인 전체를 일반화해 도 넘는 반중 정서를 가지는 행위를 지양해야 할 필요가 있다.

 

프로필 사진
변민철 기자

강원대학교 재학중인 변민철 기자입니다.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한컴아카데미, 대학생 서포터즈 1기 발대식 개최
한컴아카데미가 지난 9월 26일 경기도 성남시 한컴타워에서 서포터즈 1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한컴아카데미는 한컴그룹의 교육 전문 계열사이다. 이번 서포터즈는 수도권 소재 대학생 24명으로 구성됐으며, 앞으로 3개월 간의 활동 기간 동안 한컴아카데미의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알리는 콘텐츠를 직접 기획하고 제작하게 된다. 이번 서포터즈 활동은 한컴아카데미가 보유한 두 가지 핵심 교육 사업의 가치를 융합하고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한컴아카데미의 두 가지 핵심 교육 사업 중 첫 번째는 재직자 대상 인공지능(AI), 임베디드 등의 전문가 과정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교육이다. 두 번재는 대학생과 취업준비생을 위해 폭넓은 IT 실무 역량을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LMS) 서비스이다. LMS는 온라인에서 강의 수강부터 과제 제출, 학습 관리까지 모든 교육 활동이 이뤄지는 ‘온라인 강의실’과 같은 플랫폼이다. 서포터즈 1기는 주로 온라인 LMS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며, 실제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강의 후기, 학습 팁, 관련 산업 트렌드 등 다양한 SNS 콘텐츠를 제작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통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잠재적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