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배달의 민족’과 ‘요기요’의 기업합병 문제

독점이냐? 혁신적 서비스 제공이냐?

 

[캠퍼스엔  = 이기욱 기자] 배달 앱 서비스 회사 ‘배달의 민족’과 ‘요기요’의 기업합병에 대한 건이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출되었다. 국내 배달 앱 서비스 시장의 1,2위를 달리고 있는 두 기업의 합병 건이기 때문에 거센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요기요는 현재 독일계 기업 ‘딜리버리히어로(DH)’가 운영하고 있다. 딜리버리히어로(DH)는 요기요의 운영 외에도 국내 배달 앱 시장에서 3위를 차지하고 있는 ‘배달통’까지 같이 운영 중이다. 최근 딜리버리히어로(DH)는 배달의 민족을 운영하고 있는 ‘우아한 형제들’을 인수하였고 요기요와 배달의 민족의 합병을 진행하려 한다.

 

배달의 민족은 국내 배달 앱 시장에서 약 55%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고 요기요는 약 33%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만약 두 기업의 합병이 이루어진다면 약 90%에 달하는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는 기업이 등장하게 된다. 거기다가 배달통이 가지고 있는 점유율까지 합한다면 국내 배달 앱 시장 전체를 차지하는 거대 기업이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두 기업의 합병이 국내 배달 앱 시장을 독점 시장으로 강화시킨다고 판단을 내리면 두 기업의 합병은 불승인 결정이 내려질 수도 있다. 높은 시장점유율 자체만으로는 독점력을 행사한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두 기업의 합병이 시장 경쟁을 저해하는 것이라면 금지하는 것이 공정거래위원회의 원칙이다.

 

이전의 예로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의 인수합병(M&A) 불허 건이 있었다. SK텔레콤은 “유료방송서비스의 경우에는 SK브로드밴드의 IPTV와 CJ헬로비전의 케이블이 합쳐져도 시장 점유율 2위이기 때문에 문제가 될 것이 없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공정거래위원회는 두 기업의 합병이 시장 경쟁을 제한시킬 것이라고 판단해 인수합병을 불허했다.

 

딜리버리히어로(DH)는 두 기업이 합병된다 하더라도 경쟁 체제를 유지할 것이라는 의견을 밝히며 기업 합병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다. 요기요와 배달의 민족 두 기업의 합병으로 소비자들에게 더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그렇다하더라도 우리나라는 독점규제법에 독점을 막을 만한 방안들이 존재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기에 섣부른 판단을 내려서는 안 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소비자들에게 미칠 영향뿐만 아니라 합병 이후의 신규 기업 진입가능성, 배달 앱을 사용하고 있는 상인들에게 미칠 영향도 잘 고려해 적절한 판단을 내려야 할 것이다.

프로필 사진
이기욱 기자

충남대학교 재학 중인 이기욱입니다. 양질의 좋은 기사를 작성하기 위해 열정적으로 기사 작성에 임하겠습니다.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한컴아카데미, 대학생 서포터즈 1기 발대식 개최
한컴아카데미가 지난 9월 26일 경기도 성남시 한컴타워에서 서포터즈 1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한컴아카데미는 한컴그룹의 교육 전문 계열사이다. 이번 서포터즈는 수도권 소재 대학생 24명으로 구성됐으며, 앞으로 3개월 간의 활동 기간 동안 한컴아카데미의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알리는 콘텐츠를 직접 기획하고 제작하게 된다. 이번 서포터즈 활동은 한컴아카데미가 보유한 두 가지 핵심 교육 사업의 가치를 융합하고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한컴아카데미의 두 가지 핵심 교육 사업 중 첫 번째는 재직자 대상 인공지능(AI), 임베디드 등의 전문가 과정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교육이다. 두 번재는 대학생과 취업준비생을 위해 폭넓은 IT 실무 역량을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LMS) 서비스이다. LMS는 온라인에서 강의 수강부터 과제 제출, 학습 관리까지 모든 교육 활동이 이뤄지는 ‘온라인 강의실’과 같은 플랫폼이다. 서포터즈 1기는 주로 온라인 LMS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며, 실제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강의 후기, 학습 팁, 관련 산업 트렌드 등 다양한 SNS 콘텐츠를 제작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통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잠재적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