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5 (수)

  • 맑음동두천 -0.7℃
  • 맑음강릉 1.9℃
  • 맑음서울 -0.9℃
  • 맑음대전 1.2℃
  • 맑음대구 1.6℃
  • 맑음울산 2.1℃
  • 구름많음광주 1.3℃
  • 맑음부산 4.1℃
  • 흐림고창 -1.1℃
  • 흐림제주 4.4℃
  • 맑음강화 -1.8℃
  • 맑음보은 -0.4℃
  • 맑음금산 0.4℃
  • 구름많음강진군 1.8℃
  • 맑음경주시 2.8℃
  • 맑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우리가 성격 검사에 열광하는 이유

"너 MBTI가 뭐야?"

[캠퍼스엔 = 이다솔 기자] 사람들은 소속감을 즐긴다. 자기 자신에 대해 알아가고 싶은 욕구가 많으며, 소속을 통해 자신을 알아갈 수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유아기 시절부터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를 거쳐 대학교 회사까지 계속해서 한 집단으로부터 소속되어왔다.

 

그러다보니 색다른 소속집단을 원한다. 혈액형으로 사람의 성격이나 성향을 구분하고, 혈액형이 같다는 이유로 물건을 빌려주는 어린 시절을 겪기도 한다. 별자리로도 성격을 나누고 소속을 나눈다. 자신과 비슷한 집단을 끊임없이 찾아나가는 건 사람의 본능이다. 이제 혈액형 별자리는 너무 흔한 성격 구분 지표가 되었고 사람들은 새로운 소속집단을 찾아갔다. 바로 MBTI성격 유형 검사이다.

 

MBTI는 제 2차 세계대전 시기에 개발된 일종의 성격유형 테스트이다. 마이어스-브리그스 성격유형검사(Myers-Briggs Type Indicator)를 줄여 MBTI라고 칭한다.

 

최근 이 성격 유형 검사가 유행하고 있다. MBTI검사는 외향성-내향성, 감각-직관, 사고-감정, 판단-인식 이라는 4가지 종류의 선호 지표를 통해 16가지 성격 유형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ISTJ는 한번 시작한 일은 끝까지 해내는 성격이고, ENFP는 열정적으로 새 관계를 만드는 성격이다. 질문지를 통해 성격유형과 성격의 특성 나아가 어울리는 직업까지 알 수 있어 상담시설부터 학교 기업체에서 까지 이 검사가 성행하고 있다. 다른 성격 검사와 달리 질문의 수가 적은 편이기에 성격 검사 중에서 가장 대중적인 편이다.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는 ‘너 MBTI가 뭐야’라는 말이 관계를 맺을 때 인사말이 되었을 정도이다. SNS에서는 MBTI 별 성격을 구체적으로 알려주고 상황에 대입해 주는 일명 MBTI봇이라는 계정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낯선 사람부터 가까운 사람들까지 친밀감을 형성하고 소속감을 느끼는데 이 검사가 탁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나아가 유형별 대화법을 만들어내고 연예인이나 드라마 캐릭터에 이를 대입해 유형 자체를 패러디한 새로운 창작물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또한 4가지 선호 지표를 모방해 만들어 짜장/짬뽕 비냉/물냉 소주/맥주 부먹/찍먹 과 같은 음식 MBTI를 창조하기도 한다. MBTI는 성격 검사를 넘어서 새로운 놀이 혹은 문화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MBTI 검사를 지나치게 맹신한다는 우려가 나오기도 한다. 검사는 문항에 대해 응답자가 스스로 질문의 요지를 파악해 점수를 매긴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어떻게 본인을 생각하는지에 따라 검사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검사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혹은 검사 대상자가 처한 상황, 시간 에 따라 검사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도 있다.

 

이분법적인 4가지의 선호 지표는 모든 사람들을 정확하게 구분 지을 수 없다는 입장도 있다. 이처럼 MBTI성격 검사가 정확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이를 너무 맹신해서는 안된다. 본인이 어떤 유형인지, 자신이 어떤 성격인지 알아가는 참조, 흥미 정도로만 검사를 받아들여야 한다.

 

자기 자신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시대에 직면했다. 그런 면에서 MBTI검사는 자신 자신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었다. 그리고 새로운 문화, 놀이를 창조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프로필 사진
이다솔 기자

경기대학교 진학 중인 이다솔 기자 입니다.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성균관대 스포츠과학과 허윤서 선수, 2024 파리 올림픽 출전
성균관대 스포츠과학대학 허윤서 선수가 2024 파리 올림픽 아티스틱 스위밍 종목에 국가대표로 출전한다. 해당 종목에 한국 선수가 올림픽에 출전하는 것은 지난 2012년 런던 올림픽 이후 12년 만이다. 아티스틱 스위밍은 음악에 맞춰 수중에서 춤을 추는 종합 예술 스포츠이다. 선수들은 화려한 메이크업과 수영복을 착용하고 물속에서 아름다운 동작을 선보이는 종목이다. 유연성, 힘, 섬세함, 그리고 팀워크가 필요하며 프리 루틴과 테크니컬 루틴으로 나누어 경기가 진행된다. 우리나라를 대표해 허윤서 선우와 이리영(부산광역시수영연맹) 선수가 아티스틱 스위밍 종목에 출전하다. 두 선수 모두 2024년 2월 도하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듀엣 부문에서 결선에 진출해 10위를 차지하며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허윤서 선수는 “모든 선수들이 꿈꾸는 큰 무대인 만큼 저도 선수로서 참여할 수 있게 되어 매우 뜻깊고 뿌듯하다”고 말했다. 이어서 “12년만의 출전인 만큼 지금까지 연습한 실력을 모두 쏟아내겠다”고 출전 소감을 밝혔다. 허윤서 선수가 출전하는 아티스틱 스위밍 경기는 오는 8월 10일(토)과 11일(일) 오전 2시 30분(한국시간 기준)에 진행된다. ○ 허윤서 선수 주요

배너
배너

여신금융협회, 제8기 서포크레딧 대학생 신용홍보단 발대식 개최
여신금융협회는 7월 19일(금) 제8기 '서포크레딧 대학생 신용홍보단' 발대식을 개최했다. 서포크레딧은 지원(Support)과 신용(Credit)의 합성어로서 대학생의 신용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건전한 신용관리 의식 함양을 지원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서포크레딧 대학생 신용홍보단(이하 신용홍보단)’ 활동은 사회진출을 앞 둔 대학생들의 금융지식 함양과 신용관리 의식 제고를 위해 협회 주관으로 2017년부터 매해 운영 중인 전국 단위 신용캠페인 행사이다. 또한 신용회복위원회 ‘새희망힐링펀드’ 지원 사업이기도 하다. 신용홍보단 활동에는 신용교육 및 신용관리에 관심 있는 전국의 대학생이 참여했다. 8기는 서류 및 영상 심사를 통해 최종 36명(10개팀)이 선발됐다. 이날 발대식은 협회 금융본부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위촉장 수여, 팀별 레크리에이션, 팀미션 주제 선정 및 계획 수립 순으로 진행됐다. 신용의 개념 및 관리 방법을 주제로 한 맞춤형 강연도 열렸다. 서포터즈는 앞으로 3개월간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미션을 통해 신용 및 금융 관련 지식을 습득하고, 체득한 신용 정보를 온라인 콘텐츠로 직접 제작하여 전파하는 홍보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찾아가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