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눈 돌리지 마라

가해자 중심적 보도는 사건의 본질과 맥을 흐릴 뿐이다

 

[캠퍼스엔 = 박준 기자] N번방 사건은 천인공노(天人共怒)할 사건이 분명하다. 성착취물을 제작 및 유포하고 수많은 여성을 겁박하며 반인륜적 범죄를 일삼았다. 언론은 공론화 과정에서 톡톡한 역할을 해냈다. 용기 있는 PD는 거듭한 협박에도 보도를 진행했으며 각 신문사는 여론의 장을 만들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지금 언론의 펜촉은 어디를 향하고 있을까.

 

지난달 24일 일명 ‘박사방’의 운영자인 조주빈의 신상이 공개됐다. 포토라인에 오른 그의 사진은 씹기 좋은 가십거리였다. 학보사 편집국장 출신이라는 건 덤이었다. 그러나 언론이 ‘먼지 털기’ 보도를 이어가던 도중 본질은 변질했다. 사건의 중심이 착취의 대상인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핸드폰 속 여자 연예인들의 사진 유무와 언론인의 유착 관계가 1면 탑을 오르내렸다. 그러곤 언론사끼리 [단독]이라는 수식어 하나를 위해 추측성 기사를 쏟아냈다. 자연스레 국민들의 관심은 사건의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가해자의 한 마디가 특집 보도로 이어지고 범죄와 관련 없는 정치적 스캔들이 조명을 받는다. 점차 N번방의 피해사실은 망각한 채 잘 팔리는 헤드라인만 뽑아내는 실정이 돼버렸다. 2차 가해를 방지하기 위해 진행했던 신상 공개는 언론에게 잘 차려진 밥상일 뿐인 것 같다.

 

‘내가 이거를 보도하는 게 맞나?’ 몇몇 피해자들이 피디의 이름을 말하면서 살려달라고 하는 영상을 본 뒤 피디가 내뱉은 말이다. 묵인할 수 없는 사안의 중대함을 되새기며, 언론은 용기 있는 보도를 시작했다. 시작을 언론이 끊었다면 마무리도 언론이 지어야 한다. 한순간도 엇나가지 않은 채.  

 

그렇기에 달라져야 한다. 가해자 중심적 보도는 사건의 본질과 맥을 흐릴 뿐이다. 그의 약력은 어떤지, 어떤 삶을 밟아 왔는지는 현재로서 중요치 않다. N번방이라는 국민적 관심 속에서,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는 후속 보도 속에서, 유의미한 사회적 변혁을 이룰 수 있는 보도를 진행해야 한다.

 

진실을 보도하면 국민들은 빛 속에서 살 것이다’ 김수환 추기경의 명언 중 일부다. 어둠과도 같은 터널에서 언론은 진실의 불빛을 직시하고 국민을 이끄는 길잡이가 돼야 한다. 진실과 한없이 가까워진 지금, 눈을 돌리지 말자.

프로필 사진
박준 기자

정론직필에 의거해 기사를 작성하겠습니다.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대전광역시, 제17회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 개최
대전시가 19일 시청 2층 로비에서 ‘제17회 대전광역시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해 공모전은 ‘한 걸음에 만나는 대전 속 힐링디자인’을 주제로 진행됐다. 대학생과 일반인 206팀이 참여해 총 206점의 작품이 출품됐다. 이 중 창의성과 활용성, 완성도를 종합 평가한 결과 60개 작품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상(大賞)은 시설물 디자인 부문에서 청주대학교 임종건 씨가 출품한 ‘한밭수목원 자전거수리대 고치슈’가 선정됐다. 금상은 ▲서울대학교 김시찬·큐슈대학교 허태원 씨의 ‘마당 너머, 소제의 숨결’▲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류가현·이세린 씨의 ‘대전광역시 산책 어플리케이션 걷슈’가 차지했다. 심사는 건축·디자인·도시계획 등 관련 분야 전문가 8명이 참여했으며 작품의 창의성과 활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이장우 시장은 “이번 수상작들이 대전을 ‘디자인으로 힐링되는 도시’, ‘품격 있는 명품 도시’로 이끄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공모전이 참가자들에게는 창작의 성장 발판이 되고 시민들께는‘디자인이 주는 감동’을 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수상작은 19일부터 27일까지 9일간 대전시청 2층 로비에서 전시되며 대전광역시 공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