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비의 '깡', 그는 왜 제2전성기를 맞았을까

깡이 불러온 '밈'현상

밈(meme)이란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에서 처음으로 소개된 단어로 인간의 삶을 규정하는 문화적 요소들의 전달 단위, 중간 매개물이다. 밈은 모방을 통해 전달한다. 이를 현시대에서 문화적으로 바라보면 인터넷상에서 유행하는 콘텐츠를 재생산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밈 현상의 대표적인 사례는 비의 ‘깡’이다. 

 

 

 

3년 전, 비는 ‘깡’이라는 노래를 발매했지만 흥행하지 못했다. 대중은 과장된 안무와 허세 섞인 가사, 비의 표정이 우스꽝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 여고생은 ‘1일 1깡 여고생의 깡 cover’라는 제목으로 깡을 커버한 영상을 올렸다. 그리고 이를 중심으로 깡이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어느새 유튜브 인기 동영상은 깡 커버영상으로 가득 찼고, 하루에 한 번 깡 뮤비를 봐야 한다는 ‘1일 1깡’공식 또한 만들어졌다. 이번 ‘깡’ 신드롬에는 대중과 가수 비의 문화에 대한 변화된 태도가 있었다.


첫째, 문화의 생산자가 변화하였다. 비의 깡이 대유행을 불러일으킨 것은 다름 아닌 대중의 댓글과 커버영상이었다. SNS가 발달함에 따라 대중은 예술의 생산자와 소비자 역할을 모두 할 수 있게 되었다. 소속사의 마케팅, 언론 타기도 아닌 수용자인 대중에 의해 생산되고 소비되는 모습은 대중의 역할이 수용자에서 예술의 주체적 이용자로 변모하였음을 보여준다. 비 이전에도 밈 현상은 많았다. 몇 년 전 유행한 ‘아이스버킷 챌린지’와 지코의 ‘아무노래 챌린지’등 다양한 릴레이들이 존재했다. 그러나 이들은 유명인이 시작해 인기를 끌었다. 대중이 유행을 만들어내고 큰 규모로 선풍적인 인기를 끈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예술분야에서의 대중의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비는 ‘깡’ 반응에 대해 의연한 모습을 보였다. ‘깡’ 뮤비에는 “몇 년만 일찍 발표했어도 태희와 결혼 못 했을 듯”, “옆에서 조언해주는 사람 없는 게 신기” 등 수많은 조롱하는 댓글이 달렸다. 그러나 비는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오히려 좋아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예인은 광대, 날 갖고 놀아달라”라고 말하며 조롱놀이에 합류하였다. 그가 조롱을 받아들이고 대중의 놀잇감이 되어 함께 즐기는 모습은 비에 대한 시선을 ‘조롱’에서 ‘호감’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깡’ 신드롬으로 유명해져 <놀면 뭐하니?> 프로그램에 출연해 ‘비룡’이라는 캐릭터로 활동하면서 비는 깡 열풍에서 비라는 가수에 대한 열풍으로 확장시켰다. 만약, 그가 조롱의 댓글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여 영상을 삭제하거나 가사, 안무를 바꾸었다면 이 정도의 ‘깡’ 열풍과 비의 ‘제2의 전성기’는 오지 못했을 것이다. 

 

대중과 가수를 잇는 매체가 쌍방향 성을 띠면서, 예술 문화의 새로운 시대가 도래했다. 틱톡, 유튜브와 같은 매체를 통해 일반인이 문화를 만들어간다. 가수와 대중에게 있어 생산자와 수용자라는 역할 설정이 완전히 허물어진 것이다. 대중이 직접 스타를 만들고 이를 스스로 소비한다. SNS 매체를 통한 유행은 더욱 많아질 것이고 비의 깡과 같은 ‘밈’ 현상은 이제 대중문화의 하나의 사례로 자리 잡을 것이다. 가수들에게도 비처럼 현시대 대중의 입맛에 맞추어 변화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프로필 사진
박지원 기자

안녕하세요.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지원입니다.
실제 사실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담겠습니다~^_^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대전광역시, 제17회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 개최
대전시가 19일 시청 2층 로비에서 ‘제17회 대전광역시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해 공모전은 ‘한 걸음에 만나는 대전 속 힐링디자인’을 주제로 진행됐다. 대학생과 일반인 206팀이 참여해 총 206점의 작품이 출품됐다. 이 중 창의성과 활용성, 완성도를 종합 평가한 결과 60개 작품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상(大賞)은 시설물 디자인 부문에서 청주대학교 임종건 씨가 출품한 ‘한밭수목원 자전거수리대 고치슈’가 선정됐다. 금상은 ▲서울대학교 김시찬·큐슈대학교 허태원 씨의 ‘마당 너머, 소제의 숨결’▲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류가현·이세린 씨의 ‘대전광역시 산책 어플리케이션 걷슈’가 차지했다. 심사는 건축·디자인·도시계획 등 관련 분야 전문가 8명이 참여했으며 작품의 창의성과 활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이장우 시장은 “이번 수상작들이 대전을 ‘디자인으로 힐링되는 도시’, ‘품격 있는 명품 도시’로 이끄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공모전이 참가자들에게는 창작의 성장 발판이 되고 시민들께는‘디자인이 주는 감동’을 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수상작은 19일부터 27일까지 9일간 대전시청 2층 로비에서 전시되며 대전광역시 공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