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20만 원, 부천시 15만 원, 의정부시 15만 원.
[캠퍼스엔 = 차민준 기자]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코로나 19 확산에 의한 경기침체의 대안으로 전 경기도민에게 재난 기본소득 10만 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더하여 시별로 5만~40만 원을 추가로 지급해 각 시별로 받을 수 있는 재난기본소득은 상이하다.
재난기본소득은 3개월 이내에 사용해야 하는 경기지역화폐로 제공된다. 경기지역화폐는 휴대폰 앱을 통해 결제 및 충전이 가능하다. 지난 3월 24일 재난 기본소득 지급 발표 이후 경기지역화폐 앱 사용자는 58만 명에서 167만 명으로 2월 대비 188% 증가했다.
재난 기본소득 신청 첫날에는 최다 24만 명이 동시 접속했고, 11시간 만에 82만 명의 도민이 신청했다. 경기도 내 지역으로 사용처가 제한되고 충전과 환급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경기지역화폐는 지금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필자는 지금이 지역화폐를 활성화할 기회라고 생각한다.
경기지역화폐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에서 발행하는 대안화폐이다. 경기지역화폐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겐 6% 캐시백 혜택과 30% 소득공제를 제공하고 가맹점엔 카드 수수료 할인 혜택이 주어진다. 이러한 지역화폐는 지역경제 활성화 및 선순환을 목표로 한다. 수도권 또는 기업형 슈퍼(SSM), 대규모 프랜차이즈 매장의 쏠리는 소비의 역외유출(域外流出)을 방지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자는 취지다.
경기지역화폐 중 하나인 ‘인천e음카드’는 그 효과를 입증했다.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 소비가 위축된 올해 3월 결제액은 1천883억 원으로 전달 결제액 1천147억 원보다 늘었다. 이는 인천시가 소비증진을 위해 인천e음카드의 캐시백 혜택을 상향 조정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체 결재액의 60%가 소상공인 대표업종에서 사용된 점을 고려했을 때 결제액 증가가 소상공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경기지역화폐는 지자체의 예산으로 운영된다. 소비자가 받는 캐시백과 소상공인이 받는 혜택을 세금으로 충당하는 셈이다. 이는 문득 서울시에서 진행한 ‘제로페이’를 떠올리게 한다. 제로페이는 실패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백억의 지자체 예산을 쏟아 부었지만, 제로페이는 소비자에게 매력적인 결제수단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첫 번째 이유는 제로페이를 사용하는 소비자에 대한 혜택이 ‘제로’였기 때문이다. 제로페이의 혜택은 오로지 소상공인에게 돌아갔다. ‘결제 수수료 0%!’라는 캐치프레이즈가 다였다. 이는 지역경제 활성화의 책임을 소비자에게 돌리는 셈이다. 소비자들은 굳이 제로페이를 사용할 이유가 없다.
두 번째 이유는 결제방식이다. 제로페이는 결제 시 QR코드 촬영, 결제금액 입력 등 결제과정이 번거롭다. 그러나 경기지역화폐는 6% 캐시백 혜택과 30% 소득공제를 제공하고 앱을 통해 한 번에 결제가 가능하다. 소비자들은 경기지역화폐를 사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인천e음카드는 지난해 839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2천435억 원의 효용을 만들어냈다. 이는 성공적인 재정 운영이라고 말할 수 있다. 경기지역화폐는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돌아가는 쌍방향적 혜택과 간편한 결제방식으로 소비증진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경기지역화폐는 성공적인 대안화폐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제로페이는 누적 홍보비만 150억을 사용했다. 마케팅업체만 배 불린 셈이다. 지금 경기지역화폐는 별다른 마케팅 없이 홍보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지금이 경기지역화폐를 더욱 활성화할 기회다. 호랑이 등에 올라타라. 꾸준한 관련 정책으로 소비자의 지갑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