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혹시 당신도 스몸비?

스마트폰과 좀비를 합성한 말인 스몸비, 이들이 교통사고의 주원인이 되기도 한다

 

[캠퍼스엔/신유선 기자] ‘스몸비’라는 말을 들어보았는가? 스몸비란 스마트폰과 좀비를 합친 말로, 스마트폰 화면을 보면서 걷느라 길거리나 횡단보도 등에서도 고개를 숙이고 걷는 사람을 좀비에 비유한 말이다. 독일에서 스마트폰에 과하게 얽매인 현대인을 풍자하며 처음 사용된 이 말은 이제 대한민국에서도 흔히 사용되며 그러한 스몸비들을 자주 마주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횡단보도에서 스몸비들은 더 자주 출몰한다. 신호를 기다리는 도중 스마트폰을 보다가 옆사람이 걷는 듯한 인기척이 느껴지면 신호를 제대로 확인하지도 않고 건너려는 사람들이 많다. 심지어 횡단보도를 걷는 도중에도 시선을 스마트폰에서 떼지 않으며, 가끔씩 신호를 위반하는 오토바이 때문에 교통사고가 날 뻔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3년간 ‘주의분산’으로 인한 보행자 교통사고는 6340건으로 나왔는데 이 중 61.7%가 보행 중 휴대전화를 사용한 경우라고 밝혔다. 그리고 교통안전공단은 보행 중 휴대전화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가 2014년부터 4년간 1.94배 증가하였다고도 밝혔다. 즉, 이런 스몸비들의 특성이 교통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 이용 중 이어폰을 사용하여 음악을 듣는 경우, 차량의 경적 소리 또한 듣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 위험성은 더욱 대두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스몸비족들의 교통사고를 막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이러한 스몸비족들로 인해 교통사고가 증가하자 인천시에서는 2019년 8월, 부평역 앞에 바닥형 보행신호등을 시범설치하기도 했다. 횡단보도 바닥 가장자리에 현재 신호 상태를 알려주는 불빛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시선이 바닥을 향하고 있어도 신호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바닥형 보행신호등을 교통사고율과 무단횡단율이 높은 지역에 확대 설치하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행자 차원에서의 예방도 중요하다. 적어도 횡단보도에서만큼은 스마트폰을 잠시 넣어두고 신호를 확인하게끔 ‘신호를 보시오’등의 보행자용 표시판을 설치하거나 보행 중 스마트폰 이용으로 일어나는 교통사고 건수가 많다는 것을 공익 광고 등으로 알릴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무단횡단을 했을 시의 벌금, 신호를 확인하지 않고 보행하는 행위의 위험성 등을 학교 측에서도 교육을 한다면 스몸비족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을거라 예상된다. 그리고 스몸비족 발생의 근본적 원인인 스마트폰 중독에 대해서도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손목터널증후군, 거북목현상 등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 또한 교육이 필요하다.

 

스몸비족들을 만들고 더 나아가 교통사고까지 유발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의 거리가 필요할 때이다. 어디에서나 항상 당신과 가장 가까이 있는 스마트폰, 횡단보도나 길거리에서는 잠시 넣어두면 어떨까?

프로필 사진
신유선 기자

안녕하세요 서울여자대학교에 재학 중인 신유선 기자입니다. 정확한 정보를 신속히 전달할 수 있는 성실한 기자가 되겠습니다.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대전광역시, 제17회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 개최
대전시가 19일 시청 2층 로비에서 ‘제17회 대전광역시 공공디자인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해 공모전은 ‘한 걸음에 만나는 대전 속 힐링디자인’을 주제로 진행됐다. 대학생과 일반인 206팀이 참여해 총 206점의 작품이 출품됐다. 이 중 창의성과 활용성, 완성도를 종합 평가한 결과 60개 작품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상(大賞)은 시설물 디자인 부문에서 청주대학교 임종건 씨가 출품한 ‘한밭수목원 자전거수리대 고치슈’가 선정됐다. 금상은 ▲서울대학교 김시찬·큐슈대학교 허태원 씨의 ‘마당 너머, 소제의 숨결’▲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류가현·이세린 씨의 ‘대전광역시 산책 어플리케이션 걷슈’가 차지했다. 심사는 건축·디자인·도시계획 등 관련 분야 전문가 8명이 참여했으며 작품의 창의성과 활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이장우 시장은 “이번 수상작들이 대전을 ‘디자인으로 힐링되는 도시’, ‘품격 있는 명품 도시’로 이끄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공모전이 참가자들에게는 창작의 성장 발판이 되고 시민들께는‘디자인이 주는 감동’을 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수상작은 19일부터 27일까지 9일간 대전시청 2층 로비에서 전시되며 대전광역시 공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