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6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한국 대중문화, 세대 차이에 도전하다

- 대중문화의 변화, 하위 문화가 주요 문화로
- 트롯을 즐기는 자녀 세대, 팬덤을 즐기는 부모 세대

[캠퍼스엔/권예인 기자] 최근 한국 대중문화가 부흥기를 맞았다. 빌보드 차트를 점령한 BTS와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다수의 트로피를 거머쥔 영화 기생충은 이제 국경을 넘어 전 세계 대중에게 다가간다. 그러나, 부흥기에서 허물어진 것은 국경뿐만이 아니다. 최근 한국은 세대 간 차이를 넘어 대중문화를 향유하고 있다.

 

세대 차이란 사전에 따르면 세대가 다른 집단 간 경험에 따라 다방면에서 구별되는 것을 말한다. 대개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 간의 차이를 일컫는다. 예컨대, 각 세대는 음악과 매체라는 영역에서 각자의 영역을 구축할 수 있다. 자녀 세대는 팝과 힙합을, 부모 세대는 흔히 ‘성인가요’라고도 하는 트로트 등의 옛 노래를 듣는다. 매체에 있어서 자녀 세대는 '인스타그램', '틱톡'과 같은 신생 sns를 사용하고, 부모 세대는 ‘band’를 사용하는 등 같은 영역 안에서 향유하는 모습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모습이 문화적 세대 차이이다.

 

그렇다면 현재 대중문화는 어떻게 세대 차이를 극복하고 있을까? 최근 인기를 끈 ‘미스 트롯’과 ‘미스터 트롯’은 흔히 어른들의 문화라 여겨지는 ‘트롯’을 대상으로 했다. 5060 세대의 전유물이라고 여겨지던 트로트가 최신 예능의 서바이벌 포맷과 만나 세대를 어우를 수 있는 콘텐츠로 탄생한 것이다.

 

프로그램에서 파생된 대국민 투표, 스트리밍, 방청 등의 응원 문화는 또한 팬덤 문화와 연결된다. 1020 세대가 주축이던 팬덤 문화에 문외한이던 부모 세대가 등장했다. 그들은 자녀 세대의 도움을 받으며 함께 팬이 되어 간다. 또한, 트롯이라는 장르에 자녀 세대가 유입하며 부모 세대의 심정을 이해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됐다. 조금 새로운 모습인, 트로트를 듣는 젊은 세대와 문자 투표를 하는 부모 세대가 대중문화 측면에서 차이를 극복하고 화합을 이루게 된 것이다. 서로의 영역을 교환하듯이 문화는 세대를 넘나들었다.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는 1990년대를 기점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1943년 국내에 들어온 ‘대중문화’라는 단어는 1960년대 도시화와 영상 매체의 발전을 따라 본격적으로 상용됐다. 그러나, 1970-80년대에 들어서는 대중 매체가 부정적 존재로 다가왔다. 이데올로기 시대 속 매체는 계급성을 띠었다.

 

그 후, 1990년대부터 ‘한류’가 시작되며 현재까지도 사람들은 문화 생산자와 문화 창조자의 역할로서 대중문화를 향유하고 있다. 서브 컬쳐, 즉 부차적이고 하위에 있는 것이라 여겨지던 문화가 반대되는 개념인 주요 문화로 자리 잡은 것이다. 당시 대중문화가 저급 문화였던 것은 대중이 문화를 생산하고 즐기며 상업주의에 영향을 받고 쾌락만 추구하게 된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그러한 인식이 소비하는 세대 간의 간극을 더 커지게 했다.

 

문화는 정적인 것이 아니기에 더욱 발전하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가치를 선보이며 스테레오 타입을 타파했다. 결국 그 점이 모든 세대를 설득한 것이다. 대중문화를 즐기시는 부모님의 모습을 보며 “새로운 모습”이라고 놀라는 자녀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부모님에게 있어 그 모습은 “새로운” 것이 아니라 “숨겨진” 것 일 수 있다.

 

이 또한 문화의 역할이다. 각 세대가 대중문화를 경험함으로써 다른 영역의 문화에 대한 인식을 개선한다. 어쩌면 대중문화에 대한 작은 인식 변화가 경험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 아닐까. 그러한 역방향의 기폭제가 된 것이 최근 한국 대중 문화의 흐름이다. 

프로필 사진
권예인 기자

안녕하세요, 캠퍼스엔 학생기자 권예인입니다.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에 재학 중입니다.
정확하고 진실된 이야기, 깊고 풍부한 소식을 전해드리겠습니다!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한컴아카데미, 대학생 서포터즈 1기 발대식 개최
한컴아카데미가 지난 9월 26일 경기도 성남시 한컴타워에서 서포터즈 1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한컴아카데미는 한컴그룹의 교육 전문 계열사이다. 이번 서포터즈는 수도권 소재 대학생 24명으로 구성됐으며, 앞으로 3개월 간의 활동 기간 동안 한컴아카데미의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알리는 콘텐츠를 직접 기획하고 제작하게 된다. 이번 서포터즈 활동은 한컴아카데미가 보유한 두 가지 핵심 교육 사업의 가치를 융합하고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한컴아카데미의 두 가지 핵심 교육 사업 중 첫 번째는 재직자 대상 인공지능(AI), 임베디드 등의 전문가 과정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교육이다. 두 번재는 대학생과 취업준비생을 위해 폭넓은 IT 실무 역량을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LMS) 서비스이다. LMS는 온라인에서 강의 수강부터 과제 제출, 학습 관리까지 모든 교육 활동이 이뤄지는 ‘온라인 강의실’과 같은 플랫폼이다. 서포터즈 1기는 주로 온라인 LMS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며, 실제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강의 후기, 학습 팁, 관련 산업 트렌드 등 다양한 SNS 콘텐츠를 제작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통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잠재적






배너